월 10만원 넣고 1천만원 받기?희망저축계좌2 신청조건·서류 총정리
반응형
목차
1. 희망저축계좌2 한눈에 보기
근로 중인 저소득 가구의 자산형성을 돕는 정부 자산형성지원사업입니다. 월 10만원 이상 3년 저축 시, 요건 충족에 따라 정부가 매칭 지원금을 더해줍니다.
핵심 포인트
• 본인저축 10만원/월 × 36개월 = 360만원
• 정부지원금: 1년차 월10만 · 2년차 월20만 · 3년차 월30만 → 총 720만원
• 합계 1,080만원 + 이자 (자활참여 시 내일키움 장려/수익금 추가 가능)
• 본인저축 10만원/월 × 36개월 = 360만원
• 정부지원금: 1년차 월10만 · 2년차 월20만 · 3년차 월30만 → 총 720만원
• 합계 1,080만원 + 이자 (자활참여 시 내일키움 장려/수익금 추가 가능)
2. 신청조건 (둘 다 충족)
- 소득: 중위소득 50% 이하의 주거·교육급여 수급 가구 또는 차상위계층 가구 (※ 생계·의료급여 수급 가구 제외)
- 근로: 현재 근로·사업소득이 있는 근로활동 가구
2025년 중위소득 50% 예시 (참고용)
가구원 수 | 월 소득인정액(약) |
---|---|
1인 | 약 1,060,000원 |
2인 | 약 1,750,000원 |
3인 | 약 2,250,000원 |
4인 | 약 2,750,000원 |
※ 위 수치는 블로거 편의를 위한 예시입니다. 실제 인정액·가구판정은 관할 행정복지센터에서 최신 고시 기준으로 확인하세요.
3. 얼마를 받나? (수령 구조)
구분 | 월 | 연 |
---|---|---|
본인 저축 | 10만원 | 120만원 |
정부지원금(1년차) | 10만원 | 120만원 |
정부지원금(2년차) | 20만원 | 240만원 |
정부지원금(3년차) | 30만원 | 360만원 |
합계(3년) | - | 1,080만원 + 이자 |
자활근로 참여 시 ‘내일키움장려금/수익금’ 추가 수령 가능.
4. 신청 방법 & 준비 서류
접수기간 : 2025년 3차 ~ 10월 24일(금)
장소 : 주소지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방문
장소 : 주소지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방문
필요 서류
- 참여신청서 & 저축동의서
- 자가진단표
- 개인정보 제공·활용 동의서
- 소득·재산 확인 관련 서류(안내에 따름)
신청 절차(How-To)
1
자격 확인 — 가구소득·근로요건 충족 여부 체크
2
센터 방문 — 관할 행정복지센터 상담/신청
3
서류 제출 — 신청서·동의서·증빙 제출
4
통장 개설 — 매월 10만원 이상 자동이체 설정
5
유지 요건 — 근로 지속·교육 이수·자금사용계획서 제출
5. 합격/유지 팁 & 주의사항
- 자동이체로 누락 방지 (이체 실패 시 지원금에 영향)
- 근로활동 유지 — 소득 변동/중단 시 즉시 센터 문의
- 교육 이수·계획서 제출 — 정부지원금 필수 요건
- 불가피한 사유(질병·사고·실직 등) 발생 시 최대 6개월 적립중지 신청 가능

6.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생계·의료급여 수급 가구도 가능한가요?
아니요. 주거·교육급여 수급 가구 및 차상위계층만 해당합니다.
Q2. 월 10만원 말고 더 넣어도 되나요?
가능합니다. 다만 정부지원금 산정 구조는 제도 기준을 따릅니다.
Q3. 대전은 어디서 신청하나요?
동구·중구·서구·유성구·대덕구 행정복지센터 복지 담당 창구에서 상담·접수 가능합니다

ⓘ 본 글은 안내 목적의 정리이며, 최신 요건 및 세부 심사 기준은 관할 행정복지센터 공지와 상담을 기준으로 확정됩니다.
반응형
댓글